최근 한국에서는 산불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북 동북부 지역에서는 대형 산불이 발생하여 30명 이상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축구장 6만3천2백여 개에 해당하는 면적이 소실되었습니다[1]. 이 산불은 성묘객의 실화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고온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피해를 가중시켰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산불 위험 기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경북 지역에서는 산불 위험 기간이 산업화 이전보다 최대 10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1].
해남군에서는 산불 특별대책기간을 정하고,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하여 산불 예방과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불법 소각행위에 대해 강력한 단속을 실시하며, 산림보호법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2].
또한, 북한에서도 산불이 발생하여 비무장지대(DMZ)까지 번졌으나, 봄비로 인해 자연 진화되었습니다[3]. 국내에서는 산불 대응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일부 의원은 미국의 에어탱커 사용을 예로 들어 현실적인 대응 체계 구축을 주장하고 있습니다[4].
이러한 상황에서 탈북자 출신 공무원도 첫 월급 전액을 산불 피해 이재민을 위해 기부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산불 피해 복구와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5].
<참고자료>
- https://www.youtube.com/watch?v=bgkC24LFnmw
-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405500070
- https://www.chosun.com/politics/north_korea/2025/04/05/4R73B7CYWNBN5B35X5EGJCKJ5E/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19625
-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04/05/J7ERNWOIHFBQBIK7L4XD64VTOY/
답글 남기기